-
1. 교실 실험을 집으로 확장하기
과학 수업에서 간단한 실험을 진행하면 아이들의 눈빛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물에 소금을 넣어 밀도 변화를 관찰하는 활동이나, 식물의 성장 과정을 관찰하는 실험은 아이들에게 항상 흥미로운 경험이 됩니다. 그런데 수업 시간이 끝나면 그 흥미가 금세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실험을 가정으로 확장해 보는 시도를 했습니다.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실험을 이어가도록 과제를 내주었더니, 단순한 과제가 아니라 가족과 함께하는 새로운 놀이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2. 아이들과 가족의 반응
한 학생은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식초와 베이킹소다 반응 실험’을 해보고 사진을 가져왔습니다. 아이는 “거품이 올라올 때 아빠가 깜짝 놀랐어요!”라며 즐겁게 이야기했습니다. 또 다른 학생은 어머니와 함께 강낭콩을 심고 성장 과정을 매일 기록했는데, 그 일지를 교실에서 발표할 때 친구들이 모두 감탄했습니다. “우리 집에서도 해 보고 싶다”는 말이 쏟아졌고, 자연스럽게 아이들 사이에서 실험이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교실에서 배운 과학 개념이 집으로 이어지고, 가족과의 대화 속에서 더 깊이 자리 잡는 것을 보며 교사인 저도 뿌듯했습니다.
3. 배움이 생활로 이어지는 순간
가족과 함께 실험을 하게 되니 아이들이 과학을 더 가깝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교실에서의 지식이 시험 문제로만 남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 함께 웃고 놀며 체험하는 과정이 되었습니다. 어떤 아이는 실험 준비물을 사러 가게에 가서 부모님께 직접 설명했다고 자랑했고, 또 다른 아이는 실험 결과를 그림으로 정리해 벽에 붙여두었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생활 속에서 배움이 확장되니 아이들의 학습 태도도 한결 긍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단순히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배움이 가족과 함께하는 경험으로 자리 잡은 것이지요.
4. 작은 활동이 만든 큰 울림
이 활동 이후 학부모님들께서도 “아이와 함께 실험을 하며 대화 시간이 늘었다”, “학교 과제가 가족의 놀이가 되어 좋았다”라는 피드백을 주셨습니다. 교사로서 그보다 더 기쁜 말은 없었습니다. 교실과 가정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는 작은 과제가 아이들의 학습은 물론 관계까지 변화시켰던 것입니다. 저는 그때 깨달았습니다. 과학 수업은 교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삶 속으로 이어질 때 진짜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요.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 중 ‘따뜻한 시선’과 ‘단호한 시선’의 차이 (0) 2025.09.08 발표 시 학생에게 시선을 분배하는 기술 (0) 2025.09.07 교사의 시선이 학생 집중에 미치는 효과 (1) 2025.09.07 움직이며 배우는 교실: 5분 스트레칭 교육 아이디어 (0) 2025.09.06 비우고 집중하기: 미니멀리즘 교실 환경 조성법 (0) 2025.09.06 마음을 표현하는 수업: 감정 일기 낭독 활동 (0) 2025.09.05 내 고장 역사와 만나는 디지털 포스터 수업 (0) 2025.09.05 교실이 곧 운동장: 벽면 소품을 활용한 체육 활동 아이디어 (0) 2025.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