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ykinu의 교육 인사이트 블로그

교육과 관련된 전반적인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교육 수업 교사 학생

  • 2025. 9. 8.

    by. tomykinu

    1. 시선의 미묘한 두 얼굴

    교실에서 교사의 시선은 말보다 빠르게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따뜻한 시선’과 ‘단호한 시선’은 서로 다른 분위기를 만들어냅니다. 따뜻한 시선은 학생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수업에 몰입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반면, 단호한 시선은 규칙을 지키도록 경각심을 일깨워줍니다. 두 가지는 서로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균형 있게 활용되어야 하는 상보적 전략에 가깝습니다. 실제 수업에서 이 균형이 잘 맞을 때 교실은 차분하면서도 활력이 살아납니다.

    수업 중 ‘따뜻한 시선’과 ‘단호한 시선’의 차이


    2. 따뜻한 시선이 만드는 분위기

    수업 중 한 학생이 자신 없는 목소리로 발표할 때, 교사가 미소를 머금은 눈빛으로 바라보면 그 학생은 조금 더 용기를 내어 말을 이어갑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따뜻한 시선이 교실 전체의 공기를 부드럽게 바꾸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학생들은 “선생님이 웃는 눈으로 봐주니까 말하기가 편했어요”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작은 눈빛 하나가 학생의 자신감을 살리고, 도전 의욕을 불러일으킨 셈입니다. 이런 순간은 교사인 저에게도 교실에서의 시선이 단순히 관찰이 아니라 ‘격려’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깨닫게 해줍니다.


    3. 단호한 시선이 필요한 순간

    반대로, 학생들이 지나치게 산만해지거나 수업 질서를 해칠 때는 따뜻한 시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때 교사의 단호한 시선은 말보다 빠르게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말을 멈추고 조용히 눈빛만으로 신호를 보냈을 때 학생들이 스스로 행동을 멈추던 장면이 여러 번 있었습니다. 단호한 시선은 꾸짖음이 아니라, ‘지금은 집중해야 한다’는 무언의 요청이었습니다. 덕분에 수업의 흐름을 크게 끊지 않고도 교실의 질서를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 교사와 학생이 서로의 눈빛을 읽으며 잠시 멈추는 그 순간, 교실은 다시 안정감을 찾곤 했습니다.


    4. 균형 잡힌 시선 활용의 의미

    교사의 시선은 언제나 한쪽에 치우쳐서는 안 됩니다. 따뜻함만으로는 규율이 약해질 수 있고, 단호함만으로는 교실이 경직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교사의 시선을 통해 “나는 존중받고 있지만 동시에 책임도 지고 있다”는 메시지를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수업 상황마다 교사가 적절히 두 가지 시선을 조율할 수 있다면, 교실은 안정적이면서도 따뜻한 학습 공동체로 자리 잡습니다. 교사 자신도 그 과정에서 ‘표정과 눈빛이 수업의 또 다른 언어’임을 실감하게 됩니다.